블로그 포스팅을 하다 보면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자주 보게 됩니다. 아무래도 혼자만 보는 글이 아니라 모두에게 공개되기 때문인데요. 한국어를 쓰면서 알게 모르게 틀리는 띄어쓰기가 많은 것 같습니다. 자주 틀리는 한국어 띄어쓰기를 정리해 보았습니다.
1. -씨, -님, -양, -선생, -군
성과 이름,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, 이에 덧붙는 호칭어, 관직명 등은 띄어 씁니다.
최치원 님
박동식 씨
채영신 양
2. -개, -대, -벌, -켤레
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씁니다.
한 개, 차 한 대, 소 한 마리, 옷 한 벌, 연필 한 자루, 집 한 채, 신 두 켤레
다만,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습니다.
두시 삼십분 오초, 제일과, 삼학년, 육층, 1446년 10월 9일, 2대대, 16동 502호, 제1실습실, 80원, 10개, 7미터
3. -것
거(것), 건(것은), 걸(것을), 게(것이)는 앞 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.
그렇게 하는게 좋을 것 같아 (X)
그렇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아 (O)
나 우산 빌려주는건 안돼? (X)
나 우산 빌려주는 건 안돼? (O)
4. -데
역접의 의미가 있는 경우만 붙여 씁니다.
철수가 넘어졌는 데도 우리가 이겼다 (X)
철수가 넘어졌는데도 우리가 이겼다 (O)
씨를 심었던 데가 어디야? (X)
씨를 심었던데가 어디야? (O)
5. -체
읽은 체를 한다 (O)
읽은체를한다 (X)
6. -것, -수, -만큼
의존 명사는 띄어 씁니다
아는 것이 힘이다.
나도 할 수 있다.
먹을 만큼 먹어라.
7. -아, -어 하다
먹고 싶어 하다 (O)
먹고 싶어하다 (X)
마음에 들어 하다 (O)
마음에 들어하다 (X)
내키지 않아 하다 (O)
내키지 않아하다 (X)
'정보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캐롯퍼마일 자동차 보험 정리 보험료 계산 방법 (0) | 2022.08.01 |
---|---|
2022 코로나 가족돌봄휴가 비용 대상 온라인 신청방법 총 정리 (0) | 2022.07.27 |
경기도 아동 양육비 만24세 20만원 지원! 신청 방법, 기준 중위소득 보는 법 정리 (0) | 2022.07.22 |
남자 냄새 노인 냄새 없애는 간단한 방법 5가지 (0) | 2022.07.20 |
켄타우로스 코로나 변이 우세종 변경되나? 증상 예방법은? (0) | 2022.07.15 |
댓글